맨위로가기

루이스 1세 (스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1세는 1707년 스페인의 펠리페 5세와 마리아 루이사 디 사보이아 왕녀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1724년 1월 부왕의 퇴위로 스페인 국왕이 되었으나 7개월 만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그는 아스투리아스 공으로 지내다 즉위 후 이탈리아 영토 회복에 집중하는 부왕의 정책에 반대하며 아메리카 식민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루이스 1세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부왕의 간섭 속에서도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려 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부르봉 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스 1세 (스페인) - 엘에스코리알
    엘에스코리알은 펠리페 2세에 의해 16세기에 건설된 스페인 마드리드 근교의 역사적인 건축물 복합 단지로, 왕궁, 수도원, 교회, 도서관, 묘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에레라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서 스페인 왕가의 묘소이자 반종교개혁의 중심지였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18세기 스페인 사람 - 카를로스 3세 (스페인)
    카를로스 3세는 스페인 부르봉 왕가의 국왕으로, 파르마 공작과 나폴리-시칠리아 왕을 거쳐 스페인 왕위를 계승한 계몽 군주였으나, 예수회 추방, 빵 폭동, 식민지 반란 등의 어려움도 겪으며 스페인 제국의 절정기와 사회적 혼란을 동시에 경험했다.
  • 18세기 스페인 사람 - 파르마 공작 필리포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아들이자 부르봉-파르마 왕가의 시조인 파르마 공작 필리포는 폴란드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파르마 공국을 얻어 통치하며 경제 회복과 교육, 철학 장려에 힘쓴 계몽주의 군주였다.
  • 1724년 사망 - 마에다 쓰나노리
    마에다 쓰나노리는 에도 시대 가가번의 4대 번주로, 어린 나이에 번주가 되어 숙부의 섭정을 받으며 번정 개혁, 백성 중심 정책, 학문과 예술 장려를 통해 가가번의 문화를 융성시켰다.
  • 1724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교황 인노첸시오 13세는 1721년부터 1724년까지 재임한 244대 교황으로, 클레멘스 11세 시대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포르투갈 교황 사절 시절 예수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받아 얀센파 반대, 중국 의례 논쟁 강경 입장 유지, 스페인 광장 스페인 계단 건설 지시 등의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스 1세 (스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스투리아스 공 루이스, J. 랭크 그림, 1723년경
아스투리아스 공 루이스, J. 랭크 그림, 1723년경
군주호스페인 국왕
기타 호칭아스투리아스 공
본명루이스 펠리페 페르난도 호세 데 보르본 이 사보야 (Luis Felipe Fernando José de Borbón y Saboya)
출생일1707년 8월 25일
출생지부엔 레티로, 마드리드, 카스티야
사망일1724년 8월 31일
사망지부엔 레티로, 마드리드, 스페인
매장지엘 에스코리알
종교가톨릭 교회
루이스 1세의 서명
통치
즉위1724년 1월 15일
계승스페인 국왕
이전 통치자펠리페 5세
다음 통치자펠리페 5세
가문
왕가부르봉
아버지펠리페 5세
어머니마리아 루이사 가브리엘라 디 사보이아
배우자
배우자루이즈 엘리자베트 도를레앙 (1721년 결혼)

2. 생애

루이스 1세는 1707년 펠리페 5세와 그의 첫 번째 왕비 마리아 루이사 데 사보야의 맏아들로 태어나, 1709년 아스투리아스 공 칭호를 받았다.[15] 1714년 어머니 마리아 루이사가 세상을 떠났고, 1722년 14세의 나이에 프랑스 섭정 오를레앙 공작의 딸인 12세의 루이즈 엘리자베트(루이사 이사벨)와 결혼하였다.[16]

1724년 1월 14일, 아버지 펠리페 5세가 왕위에서 물러나면서 루이스 1세로 즉위하였다.[17] 그러나 그의 통치는 매우 짧았으며, 즉위한 지 불과 7개월 만인 같은 해 8월 31일 마드리드에서 천연두로 사망하였다.[17] 그의 나이는 17세였다. 루이스 1세에게는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스페인 왕위는 아버지 펠리페 5세에게 다시 돌아갔다.[19] 루이스 1세는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에 안장되었다.[19]

2. 1. 유년 시절 (1707년~1709년)

루이스는 1707년 마드리드의 부엔 레티로 궁전에서 당시 스페인 국왕이었던 펠리페 5세와 그의 첫 번째 왕비 마리아 루이사 데 사보야 사이의 맏아들로 태어났다.[13] 그의 세례명은 루이스 펠리페 페르난도 호세(Luis Felipe Fernando José de Borbón y Saboya)였으며, 이름 '루이스'는 아버지 펠리페 5세의 할아버지이자 프랑스 국왕이었던 루이 14세의 이름을 딴 것이다.[14] 태어날 때부터 스페인 왕위의 법정 추정 상속인이었으며, 1709년 4월에는 공식적으로 왕위 계승자에게 주어지는 아스투리아스 공 칭호를 받았다.[15]

2. 2. 아스투리아스 공 시절 (1709년~1724년)

10세의 루이스 (1717년)


루이스는 1707년 펠리페 5세와 그의 첫 번째 왕비 마리아 루이사 데 사보야의 맏아들로 마드리드의 부엔 레티로 궁전에서 태어났다[13]。세례명은 루이스 펠리페 페르난도 호세 데 보르본 이 사보야(Luis Felipe Fernando José de Borbón y Saboya)였으며, 이름 '루이스'는 아버지의 할아버지인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4]

태어날 때부터 스페인 왕위의 법정 추정 상속인이었으며, 1709년 4월 정식으로 왕위 계승자의 전통적인 칭호인 아스투리아스 공을 받았다.[3][15]

1714년, 루이스가 일곱 살 때 어머니 마리아 루이사가 세상을 떠났고, 루이스와 그의 동생들인 필리페 왕자(필리페)와 페르난도 왕자(페르난도)가 남겨졌다. 같은 해 12월 24일, 아버지 펠리페 5세는 파르마 공국과 피아첸차 공국의 상속녀인 엘리자베트 파르네세와 재혼했다.

1722년 1월 20일, 14세의 루이스는 프랑스 섭정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와 프랑수아즈 마리 드 부르봉의 딸인 12세의 루이즈 엘리자베트(루이사 이사벨)와 렐마에서 결혼했다. 루이즈 엘리자베트는 지참금으로 400만 리브르를 가져왔다[16]

2. 3. 스페인 국왕 즉위와 사망 (1724년)

1724년 1월 14일, 아버지 펠리페 5세가 루이스를 위해 왕위에서 물러나면서 루이스 1세로 즉위했다.[17] (다른 자료에서는 1월 15일로 언급되기도 한다.[5]) 펠리페 5세는 자신의 결정을 알리는 편지에서 아들을 훌륭한 왕이라 칭했고, 루이스는 아버지에게 감사를 표하는 겸손한 답장을 보냈다.[5] 그러나 루이스 1세의 통치는 불과 7개월 남짓 이어졌는데, 그해 8월 31일 천연두로 갑작스럽게 사망했기 때문이다.[5][17]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아버지 펠리페 5세는 은퇴 후 머물던 산 일데폰소 궁전에서 계속해서 국정 운영에 개입했다.[6][19] 이에 루이스 1세는 아버지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펠리페 5세 재위 시절에 등용되지 않았던 자들을 측근으로 삼았다.[6][19] 또한, 그는 아버지와 계모 엘리자베타 파르네세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잃어버린 이탈리아 영토 회복에 몰두했던 이전 정책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18] 오히려 스페인의 미래는 아메리카 식민지에 있다고 보고 이 지역에 더 집중하는 계획을 세웠다.[6][19]

루이스 1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왕위는 다시 아버지인 펠리페 5세에게 돌아갔고, 펠리페 5세는 1746년 사망할 때까지 22년간 더 통치했다.[6] 루이스 1세는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 내 국왕 묘소에 안장되었으며, 이는 부르봉 왕조 출신 군주로는 최초였다.[6][19]

3. 성격 및 개인사

루이스는 키가 크고 호리호리했으며, 금발이었다. 외모는 외할아버지인 사르데냐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를 닮아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7][20] 또한 팔이 약하여 섬세하거나 허약하다는 인상을 주었다.[8][21]

루이스의 성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외교관이자 작가였던 산 펠리페 후작 빈센테 바카야르에 따르면, 루이스는 "매우 관대하고, 너그러우며,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주는 데 능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품이나 기사도 정신보다 강한 종교심이 더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종교적 관용의 문제를 통치자로서 국정에 반영하지는 않았다.[9][22] 다른 동시대인들은 루이스가 아버지 펠리페 5세에게서 지성과 매력을, 어머니 마리아 루이사에게서 도덕성과 순종적인 면모를 물려받았다고 평가했다.[8][21]

적지 않은 역사가들은 루이스가 아버지 펠리페 5세처럼 성생활에 적극적이었는지에 대해 논쟁한다. 그는 양성애자라는 소문이 파다했으며, 베르사유 궁전에서 온 하인에게 동성애를 배웠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0] 특히 소아성애자로 알려진 라코트(Lacotte)라는 하인이 발기 부전이라는 소문이 있던 루이스 왕자를 유혹하기 위해 베르사유에서 스페인 궁정으로 보내졌고, 그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역사가들도 있다.[11][23] W. 클라크는 "스페인 왕위 계승자는 파티에서 여자만큼 남자에게도 관심이 많았고, 양쪽 성별과 에로틱한 게임을 즐겼다"고 기록했다. 당시 마드리드 거리에는 루이스의 성생활을 풍자하는 "어머니처럼 격정적이고, 아버지처럼 호색하며, 계모처럼 야심적이고, 오난주의자처럼 소년을 좋아한다"는 노래가 불리기도 했다.[12][24]

4. 평가 및 유산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5. 가계도

wikitext

번호인물
1스페인 국왕 루이스 1세
2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
3마리아 루이사 가브리엘라 디 사보이아
4프랑스의 루이 왕세자
5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빅토리아
6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7오를레앙의 안 마리
8프랑스의 루이 14세
9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10바이에른 선제후 페르디난트 마리아
11사보이의 앙리에트 아델라이드
12사보이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13사보이의 마리 잔 밥티스트
14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15잉글랜드의 헨리에타 안


참조

[1] 논문
[2] 서적 Leales demostraciones, amantes finezas, y festivas aclamaciones de la... Ciudad de Manila... en accion de gracias por el dichoso, y feliz Nacimiento de Nuestro Principe... D. Luis Phelipe Fernando Ioseph Imprenta de la Compañia de Jesús
[3] 서적 El Principado de Asturias: bosquejo histórico-documental Imprenta de Manuel G. Hernández
[4] 문서 Réimpression de l'ancien Moniteur, seule histoire authentique et inaltérée
[5] 서적 Historia de España volumen V: La casa de Borbon 1983
[6] 서적 Historia del Real Monasterio de El Escorial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서적 Leales demostraciones, amantes finezas, y festivas aclamaciones de la... Ciudad de Manila... en accion de gracias por el dichoso, y feliz Nacimiento de Nuestro Principe... D. Luis Phelipe Fernando Ioseph Imprenta de la Compañia de Jesús
[15] 서적 El Principado de Asturias: bosquejo histórico-documental Imprenta de Manuel G. Hernández
[16] 문서 Réimpression de l'ancien Moniteur, seule histoire authentique et inaltérée
[17] 서적 Historia de España volumen V: La casa de Borbon 1983
[18] 간행물 18世紀前半ブルボン朝スペインにおける政治的・外交的動揺の実相 慶應義塾大学日吉紀要刊行会
[19] 서적 Historia del Real Monasterio de El Escorial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